현대시 추천 100

목마와 숙녀 / 박인환

주선화 2008. 1. 19. 16:09

목마와 숙녀 / 박인환

 

 

한 잔의 술을 마시고

우리는 버지니아 울프의 생애와

목마를 타고 떠난 숙녀의 옷자락을 이야기 한다

목마는 주인을 버리고 거저 방울 소리만 울리며

가을 속으로 떠났다 술병에서 별이 떨어진다

상심한 별은 내 가슴에 가벼웁게 부셔진다

그러한 잠시 내가 알던 소녀는

정원의 초목 옆에서 자라고

문학이 죽고 인생이 죽고

사랑의 진리마저 애증의 그림자를 버릴 때

목마를 탄 사랑의 사람은 보이지 않는다

세월은 가고 오는 것

한때는 고립을 피하여 시들어가고

이제 우리는 작별하여야 한다

술병이 바람에 쓰러지는 소리를 들으며

늙은 여류 작가의 눈을 바라다보아야 한다

 

..........등대에...........

 

불이 보이지 않아도

거저 간직한 페시미즘의 미래를 위하여

우리는 처량한 목마 소리를 기억하여야 한다

모든 것이 떠나든 죽든

거저 가슴에 남은 희미한 의식을 붙잡고

우리는 버지니아 울프의 서러운 이야기를 들어야 한다

두 개의 바위 틈을 지나 청춘을 찾은 뱀과 같이

눈을 뜨고 한 잔의 술을 마셔야 한다

인생은 외롭지도 않고

거저 잡지의 표지처럼 통속하거늘

한탄할 그 무엇이 무서워서 우리는 떠나는 것일까

목마는 하늘에 있고

방울 소리는 귓전에 철렁거리는데

가을 바람 소리는

내 쓰러진 술병 속에서 목메어 우는데 (1955년)

 

 

* 수려한 외모로 명동 백작, 댄디 보이라 불렸던 박인환 (1926 ~ 1956년 ) 시인

 모더니즘과 조니 워커와 럭키 스트라이크를 좋아했다

그는 이 시를 발표하고 5개월 후 세상을 떴다

우리는 이 시를조금은 감상적이고 통속적인들 어떠랴, 목마든 문학이든

인생이든 사랑의 진리든 그 모든 것들을 떠나든 죽든 가슴에 남은 희미한

의식을 붙잡고 바람에 쓰러지는 술병을 바라다보아야 하는 것을 ,우리 삶의

전모인 것을,

이렇게 외롭게 죽어가는 것이 우리의 미래라면, (정끝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