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
-성선경
머리는 없고 토슈즈만 있다, 가슴은 없고 토슈즈만 뛰어다닌다, 다리도 없고
종아리도 없고 토슈즈만 음계를 밟는다, 몸통은 모두 없고 토슈즈만 바쁘다,
발목 위는 없고 다 없고 토슈즈만 뛰어다닌다, 그림자도 없이 토슈즈만 뛰어
다닌다, 흙먼지 위의 흙먼지 위를 토슈즈만 뛰어다닌다, 연잎 위에 물방울이
또르르 구른다, 물방울 위의 물방울 청개구리 한 마리 또다시 뒷발에 힘을 모
은다.
감상
-채상우(시인)
쉬운 시다. 이 시에 등장하는 '토슈즈'가 '빗방울'이라는 사실을 금방 눈치채지 못한 사람은 아마도 없을 것이다. 그런데 바로 그렇기 때문에 이 시를 대수롭지 않게 여기고 금세 책장을 넘길 수도 있겠다 싶다. 우리는 간혹 아니 실은 자주, 쉬운 시를 만나면 쉽다는 이유로 더 이상 읽기를 멈춘다. 왜 그렇까? 시를 그저 앎의 대상으로 여기기 때문이다. 그래서 예컨데 시에 쓰인 비유나 수사의 정체를 어느 정도 풀고 나면 시를 다 읽었다고 착각한다.
이 시를 두고 말하자면 '토슈즈'가 '빗방울'을 대신한 말이라는 사실을 안다고 해서 과연 이 시를 온전히 읽었다고 말할 수 있을까? 그렇게 생각한다면 '토슈즈' 대신 '빗방울'을 넣어 이 시를 읽어 보라. 정말 재미없을 것이다. 그것은 그저 시를 망치기만 할 뿐이다. 그러기보다는 지면에 쓰인 글자 그대로, 즉 '빗방울'이 아니라 '토슈즈'가 여기저기를 뛰어다니는 장면을 떠올리면서 이 시를 읽어 보라. 어떤가. 재미있고 경쾌하지 않은가. 내가 생각하기에 시 읽기는 시에 적힌 그대로를 경험하는 일이다.
'시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느 날 오후 / 임승유 (0) | 2022.11.07 |
---|---|
시니컬 / 전영관 감상 / 김정수 (0) | 2022.08.11 |
나와 작은 새와 방울과 / 가네코 미스즈 감상 / 신미나 (0) | 2022.07.29 |
또 한여름 / 김종길 감상 / 나민애 (0) | 2022.07.04 |
세계의 포탄이 모두 별이 된다면 / 이세룡 감상 / 오세영 (0) | 2022.06.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