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이 애송하는 사랑시] [39] 마치…처럼 - 김민정
지워지지 않는 사랑의 '얼룩'
내가 주저앉은 그 자리에
새끼고양이가 잠들어 있다는 거
물든다는 거
얼룩이라는 거
빨래엔 피존도 소용이 없다는 거
흐릿해도 살짝, 피라는 거
곧 죽어도
빨간 수성사인펜 뚜껑이 열려 있었다는 거
<2007년>
- ▲ 일러스트=클로이
사랑은 때로 이토록 비루한 모양이다. 시 또한 이토록 비루한 것이 된다. 그럴 땐 '마치……처럼'의 저 말줄임표 속으로 들어가 두 다리 두 팔 쭉 펴고 분해된 볼펜 자루처럼 누워 자고 싶다.
어느 날 절망이 들이닥친다. 그가 떠난다는 것이다. 사랑하던 사람이다. 이유야 여럿일 수도, 없을 수도 있으리. 애초의 만남에 무슨 이유가 있던 것은 아니었듯이. 그러나 다른 사람이 생겨 떠난다면 그건 최악이다. 나는 그만 그 자리에 주저앉아 버린다. 울음보가 터진다. 그 울음은 자라나 빛나는 눈을 뜨고 밤을 쏘아보는 고양이가 될 것이다. 나는 그를 사랑하는 동안 깊이 물들어 있었음을 이제야 알아챈다. 그 사랑의 얼룩은 지워지지 않는다. 어떤 강력한 세제도 소용없다. 그것은 옅어질 수는 있어도 영원히 피의 얼룩인 채로 남는다. 수성 사인펜으로 쓰는 글자들처럼 쉽게 번져가는 사랑의 운명. 그 글자들 위로 무수한 눈물이 떨어져 글자들은 번져 갈 것이지만 사랑은 뚜껑을 닫을 수 있는 것이 아니므로 그렇게 죽음 이후에도 진행형으로 남을 것만 같다. 그것은 한없이 하찮은 무엇이 되어 있을지도 모른다. 뚜껑 열린 수성 사인펜이라니! 게다가 붉은색이라니. 그 붉음이란 본문을 쓰는 것은 아닌, 밑줄을 긋거나 가위표를 치는 색깔이 아니던가. 절망스러운 이 사랑의 시선은 놀랍도록 건조하고 놀랍도록 새로운 시선이다.
그 피의 '얼룩'에 대하여 김민정 시인(32)은 이렇게 말한다. "사랑일 적마다 등을 먼저 돌린 건 모두가 당신. 그렇게 밀쳐졌다는 마음일 때 저는 홀로 경주에 갑니다. 그러고는 하루종일 무덤가를 걷습니다. 동산만한 무덤을 토닥이거나, 해질녘 나무 울음소리를 피해 무덤 안으로 피신할 때, 한 왕조, 한 역사, 한 세월의 허무를 비로소 몸소 체험할 때, 그 힘으로 기운을 얻어옵니다. 살아가지요, 혼자서도 아주 당당히. 마음에 실금 복잡하게 엉킨 줄도 모르고."
(장석남·시인·한양여대 문창과 교수)
입력 : 2008.11.06 03:09
'한국인이 애송하는 사랑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농담 (0) | 2008.11.08 |
---|---|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 (0) | 2008.11.08 |
서울에 사는 평강공주 (0) | 2008.11.05 |
마른 물고기처럼 (0) | 2008.11.04 |
서귀포 (0) | 2008.11.04 |